to허;사회적 약자층 자립 지원 환경 조성 방안 제안
제목; 사회적 약자층 자립 지원 환경 조성 방안 제안
1> 제안 개요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에 비추어서 기초생활 수급 및 차상위계층의 수급자 신청을 비롯하여 제안하는 과정에서 민원 및 제안자의 원만한 소통으로 제대로 해결되지 못함으로 사회문제의 심각성 장기화에 따라서 민원 및 제안한 경험자들마저 포기하는 현상에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다 생활 일선에서는 적극적으로 추진할만한 위치에 있는 관계자들의 천박한 이기심과 무사안일함을 비롯하여 아전인수{자기(自己)에게만 이(利)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行動)함을 이르는 말}로 본인의 의무 이행여. 부는 안중에도 없는 현상으로 애로(민원)사항 및 희망(제안) 사항들 접수처는 물론, 그 처리 결과물 관리·운영 현황마저 확인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런 실정은 사회 곳곳에 방치되고 있기에 어딘가에서 본받을 만한 사례예시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임을 고려하여 가난 질병 의. 식. 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특허 출원까지 한곳인 본 당사에서 현황점검을 전제로 대안 마련함이 시급한 실정이다.
2> 제안내용
민원이나 제안 접수에서 처리 결과물 관리. 운영의 필요성과 이를 추진함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사람 중에 제안하여 채택 경험자를 확보하거나 없다면 경험자를 자문자로 위촉하여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1) 당사 참여자의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대상자들부터 파악하여 수혜가 되는 방안부터 찾아서 적용하자는 것이다.
2)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다음과 같이 하자는 것이다.
기존의 회장은 임원진의 협의를, 임원진은 회장이나 회원들의 협조를 강조함에 따라서 일선 회원들의 불편함을 각자가 감수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추진하자는 것이다.
(1) 접수 및 처리 결과물 관리·운영팀 구성과 안내 방안
(2) 업무 추진 매뉴얼 마련 적용
소요 비용은 최저임금 적용과 인력 확보 방안으로써는 내부 및 외부인 자문단으로 확보 방안(수소문이나 공공기관·단체의 협조로 실현하는 방안)
(3)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혜 정책 파악과 공유방안; 어차피 알게 될 일들을 우리가 공유하며 유익한 방안들을 적용하여 체감 기회를 가지자는 것이다.
다른 곳에서 알게 되면 내부 경영진이나 관계자들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 유발로 응집력 저해는 물론 불필요한 오해 유발(무지, 소극성, 불통 등)로 본 사업추진에 치명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4) 내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파악(개인 정보 및 프라브 시 고려)
(5) 임원진이나 회장의 결정이 어려우면 그룹 및 기타 카톡방으로 공론화하여 결정 방안 적용
3> 기대효과
유관 업체들과 공공기관·단체를 비롯한 직능단체나 기업들에 모방 사례로 활용됨에 따른 효과 등이다.
끝.
생명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사회적 안전망' 마련보다 시급한 과제도, 중요한 예산은 없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07598&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